Our system is currently under heavy load due to increased usage. We're actively working on upgrades to improve performance. Thank you for your patience.
2018
DOI: 10.12963/csd.18536
|View full text |Cite
|
Sign up to set email alerts
|

Phonological Short-Term and Working Memory in 5- and 6-Year-Old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Abstract: Objectives: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phonological short-term and working memory processes in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SSD) and their typically developing (TD) peers. Additionally, the study aim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among two memory functions, articulation and vocabulary abilities. Methods: Forty 5-and 6-yearold children enrolled: 20 children with SSD and 20 TD children. Children participated in three memory tasks, digit span forward, digit span backward, and nonword repetit… Show more

Help me understand this report

Search citation statements

Order By: Relevance

Paper Sections

Select...

Citation Types

0
1
0
2

Year Published

2019
2019
2023
2023

Publication Types

Select...
7

Relationship

2
5

Authors

Journals

citations
Cited by 12 publications
(5 citation statements)
references
References 18 publications
0
1
0
2
Order By: Relevance
“…https://doi.org/10.12963/csd.23990 https://www.e-csd.org 609 말소리장애의 포인팅 음운 기억 • 정세인 외 능력은 말, 언어, 읽기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특히 음운과 조음능력이 성숙하는 3-5세에 음운기억력 또한 급격히 발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새로운 단어(음운형태)를 습득할 때에는 이를 보유, 저장하여 필요한 경우 동일 형태를 사용하기 위해 (Heo & Ahn, 2011), 문장 수준으로 발화길이가 확장되는 시기에는 타인의 발화를 모방하여 이후 반복 활용하기 위해 (Kim, M., 2020), 명확한 의사전달 요구가 증가하는 연령에서는 습득한 단어의 음소를 정확 하게 산출하기 위해, 아동은 음운기억력을 십분 발휘하게 된다 (Lee & Ha, 2018). 때문에 정보 보유의 어려움을 야기하는 음운기억의 결함은 단어학습, 문장산출, 조음의 문제로 이어지고, 더 나아가 이 해, 추론 등 인지적 측면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Fazio, 1998) (Rudner & Ronnberg, 2008).…”
unclassified
See 1 more Smart Citation
“…https://doi.org/10.12963/csd.23990 https://www.e-csd.org 609 말소리장애의 포인팅 음운 기억 • 정세인 외 능력은 말, 언어, 읽기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특히 음운과 조음능력이 성숙하는 3-5세에 음운기억력 또한 급격히 발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새로운 단어(음운형태)를 습득할 때에는 이를 보유, 저장하여 필요한 경우 동일 형태를 사용하기 위해 (Heo & Ahn, 2011), 문장 수준으로 발화길이가 확장되는 시기에는 타인의 발화를 모방하여 이후 반복 활용하기 위해 (Kim, M., 2020), 명확한 의사전달 요구가 증가하는 연령에서는 습득한 단어의 음소를 정확 하게 산출하기 위해, 아동은 음운기억력을 십분 발휘하게 된다 (Lee & Ha, 2018). 때문에 정보 보유의 어려움을 야기하는 음운기억의 결함은 단어학습, 문장산출, 조음의 문제로 이어지고, 더 나아가 이 해, 추론 등 인지적 측면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Fazio, 1998) (Rudner & Ronnberg, 2008).…”
unclassified
“…때문에 정보 보유의 어려움을 야기하는 음운기억의 결함은 단어학습, 문장산출, 조음의 문제로 이어지고, 더 나아가 이 해, 추론 등 인지적 측면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Fazio, 1998) (Rudner & Ronnberg, 2008). 말소리장애 아동의 음운작업기억능 력을 다룬 대부분의 연구들에서는 말소리장애 아동이 일반 아동 에 비해 낮은 음운작업기억 수행력을 보이고, 이는 말소리산출 결 함과 관련이 있다는 대체적으로 일관된 결론을 내리고 있다 (Kim, M., 2020;Lee, 2016;Lee & Ha, 2018). 그러나 Lee와 Ha ( 2018 Values are presented as mean (SD).…”
unclassified
“…음운 기억 능력은 주로 무의미 따라말하기 과제를 통해 살펴보았는데 일 반 아동에 비하여 말소리장애 아동의 무의미 따라말하기 수행력 이 낮다는 연구 결과를 보였다 (Lee & Ha, 2018;Lee, Kim, & Hwang, 2018;Lee & Sim, 2003). 음운작업기억 과제 역시 말소리장 애 아동이 일반 아동보다 낮은 수행력을 보였다 (Lee & Ha, 2018 (Dodd, 1995;Shriberg, Austin, Lewis, Mc-Sweeny, & Wilson, 1997;Shriberg, Kwiatkowski, Best, Terselic-Minkyeong Pi, et al • Phonological Processing Ability of Children with SSD Weber, & Hengst, 1986;Stackhouse & Wells, 1997 ; REVT_E = expressive vocabulary raw score of Receptive & Expressive Vocabulary Test ; APAC_PCC = percentage of consonants correct of Assessment of Phonology and Articulation for Children ; K-CTONI-2 = nonverbal intelligence quotient of Korean Comprehensive Test of Nonverbal Intelligence-2 (Park, 2014 ; REVT_E = expressive vocabulary raw score of Receptive & Expressive Vocabulary Test ; APAC_PCC = percentage of consonants correct of Assessment of Phonology and Articulation for Children ; K-CTONI-2 = raw score of Korean Comprehensive Test of Nonverbal Intelligence-2 (Park, 2014). Values are presented as median (range).…”
mentioning
confidence: 99%
“…무의미 낱말 따라말하기는 말 지각, 음운표상, 말 운동 프로그램 능력을 요구하는 과제이기 때문에 언어장애 뿐만 아니라 말소리장 애 아동의 기저 결함을 살펴보는데 유용하다 (Munson, Baylis, Krause, & Yim, 2010;Shriberg et al, 2009;Stackhouse & Wells, 1997). 최근 국내 연구에서도 일반 아동에 비해 말소리장애 아동이 무의미 낱말 따라말하기 과제에서 유의하게 낮은 수행력을 보인다 는 것이 보고되고 있다 (Lee & Ha, 2018;Pi, So, & Ha, 2020 2 ;0 6 -2 ;1 1 3 ;0 0 -3 ;0 5 3 ;0 6 -3 ;1 1 4 ;0 0 -4 ;0 5 4 ;0 6 -4 ;1 1 5 ;0 0 -5 ;0 5 5 ;0 6 -5 ;1 1 6 ;0 0 -6 ;0 5 6 ;0 6 -6 ;1 1 Weismer et al, 2000;Estes et al, 2007;Gathercole & Baddeley, 1989;Kamhi & Catts, 1986;Kamhi et al, 1988;Shriberg et al, 2009 ORCID 하승희(제1저자, 교신저자, 교수 https://orcid.org/0000-0003-2133-3720)…”
unclassifi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