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DOI: 10.4040/jkan.2009.39.1.1
|View full text |Cite
|
Sign up to set email alerts
|

Effects of a Death Education Program on Life Satisfaction and Attitude toward Death in College Students

Abstract: Purpose: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al study was to examine the values of a death education program developed to improve life satisfaction and attitude toward death in college students. Methods: The death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and then used with 22 college students for 5 weeks, once a week for 150 min.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students responded a questionnaire developed to measure life satisfaction and attitude toward death. t-test, 2 -test, and paired t-test with the SPSS program were u… Show more

Help me understand this report

Search citation statements

Order By: Relevance

Paper Sections

Select...

Citation Types

3
18
0
4

Year Published

2011
2011
2024
2024

Publication Types

Select...
9

Relationship

0
9

Authors

Journals

citations
Cited by 32 publications
(25 citation statements)
references
References 12 publications
(12 reference statements)
3
18
0
4
Order By: Relevance
“…Older adults staying at nursing homes have diverse health problems, including physical and psychosocial problems. Among them, functional decline, depression, and low levels of social interaction are common, and serious problems must be controlled [2] [3].…”
mentioning
confidence: 99%
“…Older adults staying at nursing homes have diverse health problems, including physical and psychosocial problems. Among them, functional decline, depression, and low levels of social interaction are common, and serious problems must be controlled [2] [3].…”
mentioning
confidence: 99%
“…선행연구에서 간호대학생에게 3주에 걸쳐 6회의 죽 음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죽음불안을 감소시키 고 임종간호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데 효과가 있었으며 (18), 또 다른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주 1회씩 총 5주간 800분의 죽음준비교육을 실시한 결과 삶의 만 족도에서 일부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13) Table 1). …”
unclassified
“…죽음은 환자나 가족 뿐 아니라 그들을 돌보는 간호사 에게도 많은 영향을 미치는데, 갑작스런 죽음을 맞이했 거나 오랫동안 병에 시달리다가 죽어가는 환자를 간호 하고 그 가족을 위로하는 일은 간호사에게 매우 어려운 일로 대부분의 간호사는 환자를 간호하는 과정에서 자 신의 죽음에 대해 생각하며 죽음 부정, 죽음 불안 등 죽 음과 관련된 부정적인 태도를 가지게 된다 (1,2 (4)(5)(6)(7). 자아존중감은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견해와 시각으로서 자아존중감 이 높은 사람은 행복하고 안정적이며 자신에 대하여 가 치 있게 느끼는 반면 자아존중감이 낮은 사람은 불행감 과 분노를 자주 느끼고 갈등을 자주 경험하며 인간의 취약성과 죽음의 필연성을 지각함으로 나타나는 죽음 불안을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보고 (5,8,9)된 바 있다.…”
unclassified
“…자아존중감은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견해와 시각으로서 자아존중감 이 높은 사람은 행복하고 안정적이며 자신에 대하여 가 치 있게 느끼는 반면 자아존중감이 낮은 사람은 불행감 과 분노를 자주 느끼고 갈등을 자주 경험하며 인간의 취약성과 죽음의 필연성을 지각함으로 나타나는 죽음 불안을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보고 (5,8,9)된 바 있다. 삶 의 만족도는 개인의 주관적 안녕감을 의미하는 개념으 로(10) 삶과 죽음에 대한 태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데 (11), 삶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죽음에 대한 태도가 긍 정적인 것으로 보고되었다 (6,7). 삶의 만족도는 자아존 중감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데 자아존중감이 낮은 사람은 삶의 만족도가 저하되며 죽음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를 형성하였다 (9 Unexperienced (N=428).…”
unclassifi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