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
DOI: 10.5656/ksae.2011.07.034
|View full text |Cite
|
Sign up to set email alerts
|

Control Thresholds for Managing Common Cutworm, Spodoptera litura (Fabricius) (Lepidoptera: Noctuidae) on Chinese Cabbage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stimate control thresholds for managing common cutworm, Spodoptera litura Faricius (Lepidoptera: Noctuidae) at different larval densities and growth stages of Chinese cabbage in field conditions. The percent yield reduction (Y) of Chinese cabbage infested by different densities of S. litura (X, no. of larvae/100 plants) for three weeks were estimated by Y=-21.85X+1300 (R2=0.997) 5 days after transplanting and Y=-12.1X+1382 (R2=0.998) 20 days after transplanting. Based on the relationships … Show more

Help me understand this report

Search citation statements

Order By: Relevance

Paper Sections

Select...
1

Citation Types

0
0
0
2

Year Published

2014
2014
2019
2019

Publication Types

Select...
4

Relationship

0
4

Authors

Journals

citations
Cited by 4 publications
(2 citation statements)
references
References 9 publications
0
0
0
2
Order By: Relevance
“…흰띠명나방은 명아주과, 비 름과(Amaranthaceae), 백합과(Liliaceae) 등을 가해하고, 특 히 명아주과 엽채류인 시금치, 근대, 비트 등의 작물에서 피 해가 크지만 (Bae and Paek, 2006 (Lee et al, 2006). 엽채류 경제적 피해수준과 관련하여 배추 담배거세 미나방은 유충밀도와 수량감소율과의 관계식으로 수량 5% 를 경감시키는 밀도는 정식초기는 2.9마리/100주, 정식중기 는 5.6마리/100주로 보고된 바 있다 (Choi et al, 2011 6.5마리였다 (Fig. 3).…”
Section: 김 주·최인영·이상구·임주락·이장호·정성수·이상계unclassified
“…흰띠명나방은 명아주과, 비 름과(Amaranthaceae), 백합과(Liliaceae) 등을 가해하고, 특 히 명아주과 엽채류인 시금치, 근대, 비트 등의 작물에서 피 해가 크지만 (Bae and Paek, 2006 (Lee et al, 2006). 엽채류 경제적 피해수준과 관련하여 배추 담배거세 미나방은 유충밀도와 수량감소율과의 관계식으로 수량 5% 를 경감시키는 밀도는 정식초기는 2.9마리/100주, 정식중기 는 5.6마리/100주로 보고된 바 있다 (Choi et al, 2011 6.5마리였다 (Fig. 3).…”
Section: 김 주·최인영·이상구·임주락·이장호·정성수·이상계unclassified
“…벼룩잎벌레(Phyllotreta striolata)는 딱정벌레목(Coleoptera) 잎벌레과(Chrysomelidae)에 속하며, 주로 배추, 무와 같은 십 자화과 식물을 가해하는 세계적으로 중요한 해충이다 (Bain and LeSage, 1998;Burgess, 1977;Lamb, 1984;Milliron, 1953;Soroka, 2009). 벼룩잎벌레에 의한 십자화과 작물의 피해는 어 린 묘일수록 피해가 많고 (Bracken and Bucher, 1986) (Stobbs, 1998(Stern et al, 1959;Pedigo et al, 1986 (Choi et al, 2011), 파밤나방 (Kim et al, 2009), 배추흰나 비 (Kwon et al, 2008), 복숭아혹진딧물 (Jeon et al, 2008 Literature Cited…”
unclassifi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