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DOI: 10.7731/kifse.2017.31.3.079
|View full text |Cite
|
Sign up to set email alerts
|

A Study on Flash Over Delay Effects on Applied Plate-Fire Spread Prevention Method at Sandwich Panels Structure

Abstract: Sandwich panels which are having the both sides are bonded with a heat insulating material with an iron plate are used as factories, warehouse structures as advantages of convenience in construction at economic efficiency of material cost. However, in a panel structure constructed by continuous joining of sandwich panels, a joint portion where a panel and a panel are connected is generated. The joint part is a part which is easily vulnerable to fire because flames easily flow into the melting and deformation o… Show more

Help me understand this report

Search citation statements

Order By: Relevance

Paper Sections

Select...
1

Citation Types

0
1
0
3

Year Published

2017
2017
2020
2020

Publication Types

Select...
3

Relationship

1
2

Authors

Journals

citations
Cited by 3 publications
(4 citation statements)
references
References 1 publication
0
1
0
3
Order By: Relevance
“…(1,2) 이에 따 라 국내에서는 내화 및 난연 심재 개발을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패널 사이에 철판을 삽입하여 화재확산을 방 지하는 연구도 진행되었다. (3,4) 본 연구에서는 복합패널 소화 설비의 소화수 소요유량을 산정하기 위하여 시험 장치를 제 작하였으며, 실물화재 실험을 통하여 성능을 검증하였다.…”
Section: [Research Paper]unclassified
“…(1,2) 이에 따 라 국내에서는 내화 및 난연 심재 개발을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패널 사이에 철판을 삽입하여 화재확산을 방 지하는 연구도 진행되었다. (3,4) 본 연구에서는 복합패널 소화 설비의 소화수 소요유량을 산정하기 위하여 시험 장치를 제 작하였으며, 실물화재 실험을 통하여 성능을 검증하였다.…”
Section: [Research Paper]unclassified
“…, 시공적인 측면에서 패널의 연결부에 철 판을 설치하여 (3,4) -Maximum temperature in furnace shall not exceed final equilibrium temperature by 20 K for 20 min after starting the heating test (If not reached equilibrium temperature within 20 min, mean temperature for last 1 min shall be considered the final equilibrium temperature) -Mass attenuation rate shall be 30% or less.…”
mentioning
confidence: 99%
“…(2) 샌드위치패널을 포함한 건축물 마감재료는 현행 건축법 시행령 제51조 및 "건축물의 피난·방화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에 따라 규정된 난연성 시험 방법으로 성능시험을 수행하고 있다. KS 2.3 실물화재 시험 (5,8,9,11,12)…”
unclassified
“…또한, 화염이 발생 후에도 순간 열방출률이 높게 지속되는 양상을 보이며 화염이 계속해서 지속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심재의 경우에는 모두 시 험 직 후 화염이 발생하여 단시간에 발생된 열방출률이 높 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4.2 실물화재 실험 결과(5,11,12) Heat Release Rate) 측정 그래프이다.ISO 13784-1에 따라 열방출율이 1,000 kW를 초과하면 플래 시오버가 발생한 것으로 한다. ISO 13784-1 시험의 경우 합 부판정의 기준은 없으며, 플래쉬오버 도달 시간을 통하여 피난시간을 산정하는 시험이라고 할 수 있다.…”
unclassifi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