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DOI: 10.5194/egusphere-egu2020-974
|View full text |Cite
Preprint
|
Sign up to set email alerts
|

VNIR spectroscopy for assessment of post-fire impacts on soil properties using linear and non-linear calibration methods

Abstract: <p>Fire is an important element of the ecosystems, nevertheless, high severity fires can have negative impacts on the ecosystems as consequence of the high temperatures reaches. High temperatures normally have detrimental impacts on soil properties. The objective of this work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of spectral reflectance and soil pH, electrical conductivity (EC), carbonates (CaCO<sub>3</sub>) and total carbon (TC) content after a medium to high severity wil… Show more

Help me understand this report

Search citation statements

Order By: Relevance

Paper Sections

Select...
2

Citation Types

0
0
0

Year Published

2023
2023
2023
2023

Publication Types

Select...
1

Relationship

0
1

Authors

Journals

citations
Cited by 1 publication
(2 citation statements)
references
References 0 publications
0
0
0
Order By: Relevance
“…산불은 산림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상당한 변화를 가져올 수 있으며, 열과 재의 유입은 화재로 인한 토양 의 변화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다 (Agbeshie et al, 2022;Bodí et al, 2014;Certini, 2005;Hrelja et al, 2020). 예를 들어, 토양의 수분 침투와 보유에 영향을 미치는 토양의 발수성은 화재 온도에 따라 증가되거나 감소될 수 있으 며, 토양 발수성 강화는 표면의 식생 제거와 함께 토양 의 유출수 증가 및 침식 가속화의 주요 원인이 된다 (Doerr et al, 2006).…”
Section: 산불 발생 지역의 토양 변화와 오염unclassified
See 1 more Smart Citation
“…산불은 산림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상당한 변화를 가져올 수 있으며, 열과 재의 유입은 화재로 인한 토양 의 변화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다 (Agbeshie et al, 2022;Bodí et al, 2014;Certini, 2005;Hrelja et al, 2020). 예를 들어, 토양의 수분 침투와 보유에 영향을 미치는 토양의 발수성은 화재 온도에 따라 증가되거나 감소될 수 있으 며, 토양 발수성 강화는 표면의 식생 제거와 함께 토양 의 유출수 증가 및 침식 가속화의 주요 원인이 된다 (Doerr et al, 2006).…”
Section: 산불 발생 지역의 토양 변화와 오염unclassified
“…뿐만 아니라, 산불 후 연소 토양에서 포타슘(K), 나트 륨(Na), Ca, Mg 등 주요 양이온의 증가가 다수 보고되었 는데, 토양에 퇴적된 재는 양이온이 풍부하여 일시적으 로 토양의 양이온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Badía et al, 2014;Bodí et al, 2014). 하지만, 장기적으로 증가한 양 이온은 침식, 강수 등으로 재의 유실과 침출이 발생하여 연소 전 수준으로 돌아가거나 고갈될 수 있다 (Agbeshie et al, 2022;Hrelja et al, 2020). Alauzis et al ( 2004 (Fultz et al, 2016;Iglesias et al, 1997;Litton and Santelices, 2003).…”
Section: 산불 발생 지역의 토양 변화와 오염unclassifi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