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essay shows how the labor of interspecies care at Animal Rescue in Action (ARA), an animal shelter in South Korea, invites two divergent interpretations. On the one hand, this labor embodies gendered exploitation by being vulnerable to the co-optation of the moralizing politics of “interspecies pity.” On the other hand, it becomes a site for intra- and inter-species entanglements, that are irreducible to the logic of exploitation. The activities of ARA become not only sustainable but also bound by the politics of interspecies pity, which translates the labor of care into selfless affection and grace, thus reproducing gendered exploitation. At the same time, however, everyday entanglements in ARA shelters still create affective excesses that are not entirely subsumed by the politics of pity and generate new forms of care and sociality. Overall, I suggest seeing not only the co-constitutiveness of social inequalities and interspecies relations but also the possibility of new, simultaneously open terrains.
초록
이 글은 한국의 동물 단체 ARA에서 수행되는 종간 돌봄 노동이 두 개의 상이한 해석을 요청하는 상황에 주목한다. 이 노동은 한편으로는 “종간 연민”의 정치에 취약해질 수 밖에 없는 상황에서 젠더화된 착취를 체현하나, 다른 한편으로는 착취의 논리로만 환원될 수 없는 얽힘의 장소가 된다. ARA의 활동은 종간 연민의 정치에 의해 지속가능해질 뿐 아니라 동시에 구속되며, 그 속에서 그들의 돌봄 노동은 이타적 애정과 ‘순수 선물’로 번역되고 그 결과 젠더화된 착취가 재생산된다. 하지만, ARA 쉼터에서 이루어지는 일상의 얽힘들은 연민의 정치 안에 완전히 포섭되지 않을 뿐 아니라 새로운 유형의 돌봄과 사회성을 구성하는 정동적 과잉을 창출한다. 이 글에서 나는 사회적 불평등과 종간 관계의 상호구성됨, 더 나아가 그 속에서 새롭게 열리는 가능성의 지형들에 주목할 것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