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4
DOI: 10.1002/pen.760341904
|View full text |Cite
|
Sign up to set email alerts
|

Shear and elongational behavior of linear low‐density and low‐density polyethylene blends from capillary rheometry

Abstract: In this work we present a n experimental study of shear and apparent elongational behavior of linear low-density (LLDPE) and low-density (LDPE) polyethylene blends by means of capillary rheometry. The characterization of these rheological properties is crucial in the design of a blend that combines the ease of processing of LDPE with the mechanical advantages of the LLDPE. TWO different low-density polyethylenes and one common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were used to prepare the blends. The results obtaine… Show more

Help me understand this report

Search citation statements

Order By: Relevance

Paper Sections

Select...
3
1

Citation Types

1
20
0
5

Year Published

1999
1999
2012
2012

Publication Types

Select...
6
1

Relationship

0
7

Authors

Journals

citations
Cited by 28 publications
(26 citation statements)
references
References 14 publications
1
20
0
5
Order By: Relevance
“…종래 의 고분자압출을 할 경우 일반적으로 필름의 두께가 25이 상인 제품을 생산속도가 100m/min 이하에서 생산하여 왔으나, 13의 초박막 필름으로 기계적강도, 내열성, 두께균일성 및 가공성이 향상된 최고 300m/min의 고속생산이 가능한 초박막 통기성 필름의 양산 기술을 개발하는 추세이다. 고분자압출에 있어서 필름강도의 요구특성은 고강성의 초기 및 파단강도가 제품을 사용하는 업체에서 요구하는 규격하한(lower specification limit, LSL) 이상이어야 하며, 고분자필름강 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자는 수지의 분자량 (3,4) , 결정화도 (crystallinity) (5~6) , 수지의 분자량분포, 용융지수(MI) (7) , 밀도 (8) 등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방법은 고분자 용융체(melt)의 특 (11,12) .…”
Section: 서 론unclassified
“…종래 의 고분자압출을 할 경우 일반적으로 필름의 두께가 25이 상인 제품을 생산속도가 100m/min 이하에서 생산하여 왔으나, 13의 초박막 필름으로 기계적강도, 내열성, 두께균일성 및 가공성이 향상된 최고 300m/min의 고속생산이 가능한 초박막 통기성 필름의 양산 기술을 개발하는 추세이다. 고분자압출에 있어서 필름강도의 요구특성은 고강성의 초기 및 파단강도가 제품을 사용하는 업체에서 요구하는 규격하한(lower specification limit, LSL) 이상이어야 하며, 고분자필름강 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자는 수지의 분자량 (3,4) , 결정화도 (crystallinity) (5~6) , 수지의 분자량분포, 용융지수(MI) (7) , 밀도 (8) 등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방법은 고분자 용융체(melt)의 특 (11,12) .…”
Section: 서 론unclassified
“…Es sabido que el LLDPE es un copolímero del etileno y una α-olefina, con ramificación de cadena corta, que se usa de forma generalizada como film de empaquetamiento debido a sus excelentes propiedades mecánicas. La formación de una blenda por adición de LDPE mejora las dificultades observadas en el procesado de extrusión y también mejora las propiedades ópticas del film soplado [101][102][103] Las propiedades de las blendas de los polímeros semicristalinos dependen en gran medida de la cristalinidad y de la morfología cristalina.…”
Section: Blendas De Poliolefinasunclassified
“…Hay numerosos estudios sobre la morfología y cristalización de las blendas de LDPE-LLDPE (producido por catalizadores Ziegler-Natta) [102][103][104][105][106][107][108] y de esta bibliografía se puede formular las siguientes conclusiones:…”
Section: Blendas De Poliolefinasunclassified
See 2 more Smart Cit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