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DOI: 10.5345/jkibc.2015.15.3.281
|View full text |Cite
|
Sign up to set email alerts
|

Properties of Cement Paste Containing High Volume γ-C2S and MgO Subjected to CO2Curing

Abstract: Carbonation of concrete causes reduction of pH and subsequently causes steel corrosion for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However, for plain concrete structure or PC product, it can lead to a decrease in porosity, high density, improvement of concrete, shrinkage-compensation. Recently, based on this theory, research of CO2 curing effect has been performed, but it was mainly focused on its effects on compressive strength using only ordinary portland cement. Researches on CO 2 curing effect for concrete containi… Show more

Help me understand this report

Search citation statements

Order By: Relevance

Paper Sections

Select...

Citation Types

0
0
0
2

Year Published

2016
2016
2023
2023

Publication Types

Select...
4

Relationship

0
4

Authors

Journals

citations
Cited by 4 publications
(2 citation statements)
references
References 11 publications
0
0
0
2
Order By: Relevance
“…2 조건과 비교하여 약 3배정도 낮았다. 이는 CO 2 와의 반응으로 생성된 Ca 2+ 와 Mg 2+ 를 함유한 다량의 탄산염화 물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Mo et al, 2010;Sung et al, 2015). 20% CO 2 조건에서 양생된 공시체들은 전반적으로 양 생기간이 길수록 강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28일 에서 60일 사이에 가파른 증가율을 나타내었다.…”
unclassified
See 1 more Smart Citation
“…2 조건과 비교하여 약 3배정도 낮았다. 이는 CO 2 와의 반응으로 생성된 Ca 2+ 와 Mg 2+ 를 함유한 다량의 탄산염화 물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Mo et al, 2010;Sung et al, 2015). 20% CO 2 조건에서 양생된 공시체들은 전반적으로 양 생기간이 길수록 강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28일 에서 60일 사이에 가파른 증가율을 나타내었다.…”
unclassified
“…이는 MgO의 느린 수화 반응에 의한 팽창현상이 긴 양생 기간에 따른 PC의 수축 현상을 상쇄시켜 P100보다 GGBS와 FA 내 SiO 2 , Al 2 O 3 와 같은 물질들과 수화반응 및 CO 2 와 탄산염화 반응을 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 과정에서 생성되는 Mg 2+ 를 함유한 다량의 수화 및 탄산 염화물이 공시체의 팽창을 일으켜 공시체의 건전성을 유 지시키지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Mo et al, 2010;Hwang et al, 2013;Kim et al, 2014;Sung et al, 2015). 그 러므로 마그네슘계 고화제 내 MgO가 적정량 혼합되었을 때 산업부산물의 알칼리 활성화제로 작용하여 강도 증진 효과를 촉진시키지만(Maria and Suurenda, 2003; Kwon et al, 2013), 필요 이상으로 혼합될 경우 과도한 탄산염 화 물질을 생성하여 오히려 강도 저하를 일으킬 수도 있 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Jang et al, 2011; Kim and Jun, 2015).…”
unclassifi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