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DOI: 10.17496/kmer.2015.17.2.69
|View full text |Cite
|
Sign up to set email alerts
|

Medical Students’ Perception of the Research Curriculum and Activating Factors on Research during Medical School

Abstract: Including the research in the medical curriculum is regarded as an important issue for medical education. Research experience at medical school has a positive impact on students and it motivates them to undertake further research in the fu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factors to activate the research of medical school students. We investigated students' perception of the research curriculum in medical school. The survey for this study was conducted among 41 targeted medical school students … Show more

Help me understand this report

Search citation statements

Order By: Relevance

Paper Sections

Select...

Citation Types

0
0
0
1

Year Published

2024
2024
2024
2024

Publication Types

Select...
1

Relationship

0
1

Authors

Journals

citations
Cited by 1 publication
(1 citation statement)
references
References 27 publications
(17 reference statements)
0
0
0
1
Order By: Relevance
“…의과대학생들의 미래 진로선택에 영향을 주는 인자는 매 우 다양해서 의과대학 생활에서의 경험, 성격 요인, 임상실습 성 취도, 주변 가족, 교수, 친지의 권고, 친지가 어떤 병을 가지고 있 었나 등 여러 이유로 전공선택을 하게 된다고 하며 [17], 상당수는 체계적인 진로교육이나 상담을 통하지 않고 가족, 친구, 교수, 선 배와 상의한다고 하며 [18], 다양한 진로선택과정에서 불확실성 등으로 많은 스트레스를 받는다는 것이 밝혀지기도 하였다 [19][20][21][22]. 본 연구는 졸업 후 전공선택에 대한 진로지도에 관련된 의학교 육 관련 문헌을 검색하기 위해 국내의 경우 네이버 학술정보시스 템 [33], 학술연구정보서비스(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34]에서, 국외의 경우에는 PubMed [35]를 통해 검색하였 고, 검색 키워드로 국내외 문헌을 검색하기 위해서는 "진로교육 (career education)", "진로지도(career guidance)", "진로선택(career choice)", "의과대학(medical college) 41개 의과대학생을 대상으로 연구교육과정에 대한 학생 요구 도, 인식에 대한 Kim과 Yang [58]의 연구에 따르면, 연구활동의 기회가 있다면 참여를 하겠다는 학생이 87.8%에 [60,61]. 캐나다 의과대학협의회에서는 "education in Canada postgraduate"를 시작해서 졸업 후 교육과정을 검토하였고, 전 공의 진입 시 요구되는 12개의 EPA를 제시하였다 [62].…”
unclassified
“…의과대학생들의 미래 진로선택에 영향을 주는 인자는 매 우 다양해서 의과대학 생활에서의 경험, 성격 요인, 임상실습 성 취도, 주변 가족, 교수, 친지의 권고, 친지가 어떤 병을 가지고 있 었나 등 여러 이유로 전공선택을 하게 된다고 하며 [17], 상당수는 체계적인 진로교육이나 상담을 통하지 않고 가족, 친구, 교수, 선 배와 상의한다고 하며 [18], 다양한 진로선택과정에서 불확실성 등으로 많은 스트레스를 받는다는 것이 밝혀지기도 하였다 [19][20][21][22]. 본 연구는 졸업 후 전공선택에 대한 진로지도에 관련된 의학교 육 관련 문헌을 검색하기 위해 국내의 경우 네이버 학술정보시스 템 [33], 학술연구정보서비스(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34]에서, 국외의 경우에는 PubMed [35]를 통해 검색하였 고, 검색 키워드로 국내외 문헌을 검색하기 위해서는 "진로교육 (career education)", "진로지도(career guidance)", "진로선택(career choice)", "의과대학(medical college) 41개 의과대학생을 대상으로 연구교육과정에 대한 학생 요구 도, 인식에 대한 Kim과 Yang [58]의 연구에 따르면, 연구활동의 기회가 있다면 참여를 하겠다는 학생이 87.8%에 [60,61]. 캐나다 의과대학협의회에서는 "education in Canada postgraduate"를 시작해서 졸업 후 교육과정을 검토하였고, 전 공의 진입 시 요구되는 12개의 EPA를 제시하였다 [62].…”
unclassifi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