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
DOI: 10.7745/kjssf.2011.44.2.215
|View full text |Cite
|
Sign up to set email alerts
|

Macro and Micro Nutrient Contents in Leaves of Greenhouse-grown Cucumber by Growth Stages

Abstract: In order to estimate the inorganic nutrient content in cucumber leaves at respective growth stages under greenhouse conditions, we investigated five cucumber farms practicing a forcing cultivation system with nine-month growth period and another five cucumber farms practicing a semiforcing cultivation system with six-month growth period. The cucumber yield in forcing and semiforcing cultivation systems amounted to 14.8 ton 10a -1 and 10.7 ton 10a -1 , respectively. Soils between two different cultivation syste… Show more

Help me understand this report

Search citation statements

Order By: Relevance

Paper Sections

Select...

Citation Types

0
0
0
2

Year Published

2012
2012
2021
2021

Publication Types

Select...
5

Relationship

1
4

Authors

Journals

citations
Cited by 6 publications
(2 citation statements)
references
References 3 publications
0
0
0
2
Order By: Relevance
“…우리나라의 식물영양연구는 1967년부터 농촌진흥청 식물환경연구소 (구 국립농업과학원) 식물영양과의 신설과 함께 시작되었다. 1990년대부터 원예작물의 적정 양분함량에 관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져 상추, 토마토, 오이 등 시설채소작물에 대한 엽위별 적정범위 및 결핍농도의 설정과 영농현장에서 영양장애로 추정되는 작물들에 대한 무기성분 분석 등으로 수행되었다 (Ryu, 1982;NIAST, 1990Jang et al, 2004;Lee et al, 2007;Lee et al, 2008;Jang et al, 2009;Lee et al, 2011;NAS 2017). 또한 영농현장에서 토양 중 질산태 질소를 추출하여 분석하는 생토용적침출법 또는 porous cup을 이용한 토양용액 침출법 등의 정확성과 효율성에 대한 평가가 수행되었으나 (Hong and Park, 2000;Hayashi, 1990;Roppongi, 1998;Roppongi and Yamazaki, 1998), 토양과 작물 중 양분의 과 부족을 신속하게 진단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unclassified
See 1 more Smart Citation
“…우리나라의 식물영양연구는 1967년부터 농촌진흥청 식물환경연구소 (구 국립농업과학원) 식물영양과의 신설과 함께 시작되었다. 1990년대부터 원예작물의 적정 양분함량에 관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져 상추, 토마토, 오이 등 시설채소작물에 대한 엽위별 적정범위 및 결핍농도의 설정과 영농현장에서 영양장애로 추정되는 작물들에 대한 무기성분 분석 등으로 수행되었다 (Ryu, 1982;NIAST, 1990Jang et al, 2004;Lee et al, 2007;Lee et al, 2008;Jang et al, 2009;Lee et al, 2011;NAS 2017). 또한 영농현장에서 토양 중 질산태 질소를 추출하여 분석하는 생토용적침출법 또는 porous cup을 이용한 토양용액 침출법 등의 정확성과 효율성에 대한 평가가 수행되었으나 (Hong and Park, 2000;Hayashi, 1990;Roppongi, 1998;Roppongi and Yamazaki, 1998), 토양과 작물 중 양분의 과 부족을 신속하게 진단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unclassified
“…이러한 원인은 노지토양에 비해 시설토양의 양이온 함 량이 2배 이상 높은 것과(농업환경변동조사사업 보고서, 2013, 2015), 시설재배의 경우 토양에 밑거름으로 공급한 퇴비가 보유한 양이온이 (칼륨, 칼슘, 마그네슘 등) 작토층에 집적되어 있는 것이 주요 요인으로 추정된다. 일부 시설 재배 작물에 대하여 생육단계별 적정 무기성분 함량에 대하여 보고된 바 있으며(Lee et al, 2007(Lee et al, , 2008(Lee et al, , 2011(Lee et al, , 2012, 위에서 기술한 조사, 분석된 작물 중 무기성분 함량 결과와 비교, 검토하여 작물과 재배유형별로 분류하였다 (Table3). 전반적으로 볼 때, 무기성분 함량이 높은 것으로 분류된 작물은 감자, 고추, 수박, 시금치, 무 (이상 노지재배)와 고 추, 수박, 참외, 상추, 열무 (이상 시설재배)였고, 낮은 것으로 분류된 작물은 고구마, 배추, 파, 마늘, 양파, 당근 (이상 노지재배)과 오이, 토마토, 방울토마토, 딸기, 애호박, 배추, 케일, 무 (이상 시설재배) 이였다.…”
unclassifi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