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DOI: 10.14383/cri.2013.8.3.217
|View full text |Cite
|
Sign up to set email alerts
|

Geostatistical Analysis of Monthly Temperature Distributions using Topographic Data: A Case Study around Jirisan Areas

Abstract: : This paper generated time-series temperature maps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emperature distributions from monthly average temperature observations between 2010 and 2011 in Jirisan areas using topographic data and geostatistics. From variogram modeling, all months except May to August showed that the spatial variability of temperature was the greatest along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coasts. Monthly temperature has negative correlations with elevation and distances from coasts and especially th… Show more

Help me understand this report

Search citation statements

Order By: Relevance

Paper Sections

Select...

Citation Types

0
0
0
1

Year Published

2015
2015
2015
2015

Publication Types

Select...
2

Relationship

1
1

Authors

Journals

citations
Cited by 2 publications
(1 citation statement)
references
References 5 publications
0
0
0
1
Order By: Relevance
“…지형에 의 한 기후 특성을 주제로 한 국외의 최근 연구는 특 정 지역의 지형 요소나 지형적 조건을 고려하여 강 수, 기온, 바람 등의 공간적 분포 특성을 모델링하 는 공간 분석 기법에 대한 연구 (Weisse and Bois, 2001; Johansson and Chen, 2003;Marquínez, et al, 2003;Ahmed et al, 2014;Feidas et al, 2014;Zhang et al, 2014)가 대부분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기상 및 기후 자료의 공간적 특성을 해석하고 모 델링하기 위한 변수로서 지형 요소를 고려한 연구 (Lim and Lee, 1994;Yun, 2000;Jung et al, 2006;Park and Kim, 2009;Kim et al, 2010;Lee at al., 2012), 기온, 강수 등의 기후 요소와 지형 요소 사 이의 공간적 상호관계를 분석한 연구 (Um et al, 2011;Chung et al, 2003;Park and Jang, 2013) O'Hare et al, 2005;Ahrens, 2006;Lee, 2007 (Marquínez et al, 2003;Apaydin et al, 2011). 그러나 우리나라 36개 기상 관측소에 서 해안선으로부터의 거리와 기후 자료 사이의 상 관성을 분석한 결과, 선형의 상관성은 강수보다 는 기온에서 잘 나타났다.…”
unclassified
“…지형에 의 한 기후 특성을 주제로 한 국외의 최근 연구는 특 정 지역의 지형 요소나 지형적 조건을 고려하여 강 수, 기온, 바람 등의 공간적 분포 특성을 모델링하 는 공간 분석 기법에 대한 연구 (Weisse and Bois, 2001; Johansson and Chen, 2003;Marquínez, et al, 2003;Ahmed et al, 2014;Feidas et al, 2014;Zhang et al, 2014)가 대부분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기상 및 기후 자료의 공간적 특성을 해석하고 모 델링하기 위한 변수로서 지형 요소를 고려한 연구 (Lim and Lee, 1994;Yun, 2000;Jung et al, 2006;Park and Kim, 2009;Kim et al, 2010;Lee at al., 2012), 기온, 강수 등의 기후 요소와 지형 요소 사 이의 공간적 상호관계를 분석한 연구 (Um et al, 2011;Chung et al, 2003;Park and Jang, 2013) O'Hare et al, 2005;Ahrens, 2006;Lee, 2007 (Marquínez et al, 2003;Apaydin et al, 2011). 그러나 우리나라 36개 기상 관측소에 서 해안선으로부터의 거리와 기후 자료 사이의 상 관성을 분석한 결과, 선형의 상관성은 강수보다 는 기온에서 잘 나타났다.…”
unclassifi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