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
DOI: 10.4040/jkan.2005.35.3.555
|View full text |Cite
|
Sign up to set email alerts
|

Experiences of Hope in Clients with Chronic Schizophrenia

Abstrac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chronic schizophrenic patients always strive hard to keep hope and they really need someone who can support them.

Help me understand this report

Search citation statements

Order By: Relevance

Paper Sections

Select...

Citation Types

0
0
0
4

Year Published

2012
2012
2020
2020

Publication Types

Select...
4
1

Relationship

0
5

Authors

Journals

citations
Cited by 9 publications
(4 citation statements)
references
References 5 publications
0
0
0
4
Order By: Relevance
“…, 희망이 없는 절망상태는 인간의 성취 관련 사고를 비 활성화시켜 긍정적인 행위 수행을 감소시킬 수 있다 [9]. 따라서 희망은 정신장애인의 재활에 필수적인 요소이며 [10], 정신장애인이 희망을 갖는다는 것은 질병 회복을 위한 전 환점이 될 수 있다.…”
unclassified
See 1 more Smart Citation
“…, 희망이 없는 절망상태는 인간의 성취 관련 사고를 비 활성화시켜 긍정적인 행위 수행을 감소시킬 수 있다 [9]. 따라서 희망은 정신장애인의 재활에 필수적인 요소이며 [10], 정신장애인이 희망을 갖는다는 것은 질병 회복을 위한 전 환점이 될 수 있다.…”
unclassified
“…국외의 경우 긍정심리학이 발전함에 따라 희망과 낙관주의에 관한 연구들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희망과 자기효능감, 낙관주의, 안녕감에 관한 연구 [7], 정신장 애인의 희망 형성에 관한 연구 [10], 희망 이론에 관한 연구 [11], 첫 재발 암 환자의 희망 강화에 관한 연구 [12] 등이 있다. 우리 나라의 경우 희망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신체적 만성질환자나 말기 암 환자를 대상으로 수행되어 왔으며, 정신장애인을 대상 으로 다룬 연구로는 조현병 환자의 희망개념 분석 [4], 만성 정 신장애인의 희망체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9], 조현병 환자의 희망 측정도구 예비연구 [13] Table 3).…”
unclassified
“…뿐만 아니라 말기신부전 환자들은 생존을 위한 치료방법으 로 혈액투석을 선택하면서 투석 적응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이 과정에는 환자의 신체상태 뿐만 아니라 정서적 변인이 크 게 작용하며, 정서적 변인은 또한 혈액투석 환자들의 재활과 삶의 질에 결정적인 영향을 준다 [3,4] 인간의 긍정적 특성 중 희망은 사전적 정의로 '긍정적인 결 과에 대한 믿음'을 뜻하며, 정서적, 인지적, 행동적 측면을 모 두 가진 역동적이며 복합적인 현상이다 [11,12]. 희망은 곤경에 빠졌다는 인식을 바탕으로 병을 가진 몸을 수용하고 한계를 초 월하여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가는 것으로 삶을 유지하게 하는 힘 중 하나이다 [11]. 희망이론을 제시한 Synder [13]…”
unclassified
“…반면에 우 리나라에서 수행된 최근 연구들은 대부분 양적 연구로, 정신질 환자들이 지각하는 오명 관련 연구 (Han, Kim, & Lee, 2002;Kang, 2009;Seo & Kim, 2004), 낙인 영향요인 연구 (Han et al, 2002), 낙인척도 개발 연구 (Chon, 2010), 그 외 일반인들 의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나 인식, 낙인정도에 대해 국내에 서도 많은 연구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질적 연구로는 정신질 환자 가족의 체험 연구 (Lee & Choi, 2007), 가족의 경험연구 (Bai, 2001;Lee, 2004), 가족의 희망 형성과정 연구 (Kim, 2008), 희망체험 연구 (Koh, 2005) …”
unclassifi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