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ur system is currently under heavy load due to increased usage. We're actively working on upgrades to improve performance. Thank you for your patience.
2022
DOI: 10.7745/kjssf.2022.55.1.001
|View full text |Cite
|
Sign up to set email alerts
|

Difference in Soil Biogeochemical Properties of Agricultural Highland by Topographical Characteristic and Soil Management

Abstract: In agricultural highland, soil properties change over time due to soil management methods, soil erosion, and cultiva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soil properties according to land management in agricultural highland. As a result of the soil analysis, Anbandegi, Maebongsan, Yeongwol, and Jeongseon, located near the top of the mountain, had low bulk densities, and organic matter, CEC, exchangeable cation, water stable aggregation rate, and dehydrogenase activity, were re… Show more

Help me understand this report

Search citation statements

Order By: Relevance

Paper Sections

Select...

Citation Types

0
0
0
1

Year Published

2023
2023
2023
2023

Publication Types

Select...
1

Relationship

0
1

Authors

Journals

citations
Cited by 1 publication
(1 citation statement)
references
References 13 publications
0
0
0
1
Order By: Relevance
“…담수 환경인 우리나라 벼논은 혐기 조건에서 많이 발견되는 Chloroflexota의 상대풍부도 가 높았고 밭, 과수원, 시설재배지에 비해 미생물 네트워크가 더 많이 형성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Petriglieri et al, 2018;Lee et al, 2020). 토양 유형 뿐만 아니라 토양 관리 방법에 따라 달라지는 토양 화학성은 미생물 군집 변화에 상 당한 영향을 미친다고 잘 알려져 있다 (Aziz et al, 2013;Bartram et al, 2014;Yoon et al, 2022;Kim et al, 2023). 이 전 연구들은 pH, 전기 전도도, 유기물 함량, 가용성 인산 등 변화에 따라 미생물 군집 구성이 달라지는 것을 확인하였 고 (Chodak et al, 2015;Kim et al, 2016;Xu et al, 2020), 특히 pH는 다른 이화학성에 비해 미생물 군집 구조와 다양 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Lauber et al, 2009;Rousk et al, 2010;Kim et al, 2016;Lee et al, 2020).…”
unclassified
“…담수 환경인 우리나라 벼논은 혐기 조건에서 많이 발견되는 Chloroflexota의 상대풍부도 가 높았고 밭, 과수원, 시설재배지에 비해 미생물 네트워크가 더 많이 형성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Petriglieri et al, 2018;Lee et al, 2020). 토양 유형 뿐만 아니라 토양 관리 방법에 따라 달라지는 토양 화학성은 미생물 군집 변화에 상 당한 영향을 미친다고 잘 알려져 있다 (Aziz et al, 2013;Bartram et al, 2014;Yoon et al, 2022;Kim et al, 2023). 이 전 연구들은 pH, 전기 전도도, 유기물 함량, 가용성 인산 등 변화에 따라 미생물 군집 구성이 달라지는 것을 확인하였 고 (Chodak et al, 2015;Kim et al, 2016;Xu et al, 2020), 특히 pH는 다른 이화학성에 비해 미생물 군집 구조와 다양 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Lauber et al, 2009;Rousk et al, 2010;Kim et al, 2016;Lee et al, 2020).…”
unclassifi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