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DOI: 10.3346/jkms.2022.37.e74
|View full text |Cite
|
Sign up to set email alerts
|

Burnout of Faculty Members of Medical Schools in Korea

Abstract: Background There is no national survey on medical school faculty members’ burnout in Korea.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burnout levels and explore possible factors related to burnout among faculty members of Korean medical schools. Methods An anonymous onlin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40 Korean medical schools from October 2020 to December 2020. Burnout was measured by a modified and revalidated version of the Maslach Burnout Inventory-Human Service Survey. … Show more

Help me understand this report

Search citation statements

Order By: Relevance

Paper Sections

Select...
1
1
1

Citation Types

1
14
0
4

Year Published

2022
2022
2024
2024

Publication Types

Select...
8

Relationship

1
7

Authors

Journals

citations
Cited by 15 publications
(19 citation statements)
references
References 17 publications
1
14
0
4
Order By: Relevance
“…In that study, excessive regulation by the government or university was introduced as the most substantial cause of burnout [25]. Furthermore, the result of a literature review by Thomas et al [26] showed that nursing faculty members have needs related to student guidance and counseling.…”
Section: Factors Associated With the Pa Subscalementioning
confidence: 98%
“…In that study, excessive regulation by the government or university was introduced as the most substantial cause of burnout [25]. Furthermore, the result of a literature review by Thomas et al [26] showed that nursing faculty members have needs related to student guidance and counseling.…”
Section: Factors Associated With the Pa Subscalementioning
confidence: 98%
“…정서적 고갈, 비인간화, 개인적 성취감 감소 세 가지 증상이 모두 높은 의과대학 교수는 10% 정도였다고 하 였다 [24]. 우리나라의 경우, 의과대학 교수 855명 중 정서적 고 갈 34%, 비인간화 66.3%, 개인적 성취감 감소는 92.4%가 경험 한 것으로 나타났다 [11]. 그 외에 파키스탄 [25], 이집트 [26], 이란 이러한 요인으로 발생하는 소진은 의과대학 교수 자신의 생활 과 삶의 질뿐만 아니라 환자 치료의 질 저하 문제 [39], 환자에 대 한 공감 감소 [40,41], 의료 오류 및 부작용 발생의 증가 [40], 의료 시스템 기능 저하와 이직률 증가 [42,43] 등의 결과를 초래한다.…”
Section: 의과대학 교수의 역할과 소진unclassified
“…소진의 가장 중요한 예측변수인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도 1981년부 터 시작되어 2004년도에 연간 논문 수가 100편을 넘었고, 2016 년도부터 연간 논문 수가 400편 이상이 출간되는 등 매년 지속적 으로 증가하고 있다 [10]. 그러나 국내 전체 의과대학 교수를 대상 으로 한 연구는 거의 찾아보기 어려웠고 [11], 국외 의과대학 교수 의 소진 관련 연구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너무 부족한 실정이다.…”
unclassified
“…다행히, 미국의 사례와 같이 약물이용을 응답한 경우는 없었다. 최근 출간된 우리나라 의대 교수의 탈진의 실태와 원인을 연구한 논문에서 주당 80시간 이상의 장시간 근무가 성취점수를 감소시키는 가장 주요한 원인으로 지목하였는데( 17 ) 대부분의 영상의학과의 근무형태가 정해진 외래나 수술시간 없이 일주일 내내 판독실에서 끊임없이 판독을 하는 점으로 볼 때, 높은 영상의학과 전문의의 탈진율과 연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Section: 우리나라 대형병원에서 근무하는 영상의학과 의사의 탈진 실태unclassifi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