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DOI: 10.6115/fer.2016.007
|View full text |Cite
|
Sign up to set email alerts
|

A Qualitative Study on Children’s Experiences of Parental Divorce and Adaptation to Single-Father Families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the processes of parental divorce and adaptation in single-parent families as well as examined how the experience of living in family welfare facilities influences the adaptation process of such families. The research question to achieve the study objective was, "What is the adaption process for a singlefather family, and what influence does living in a single-father family welfare facility have on that proces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between June 2013 and April 2014 that included a… Show more

Help me understand this report

Search citation statements

Order By: Relevance

Paper Sections

Select...

Citation Types

0
0
0

Year Published

2023
2023
2023
2023

Publication Types

Select...
1

Relationship

0
1

Authors

Journals

citations
Cited by 1 publication
(1 citation statement)
references
References 10 publications
0
0
0
Order By: Relevance
“…기존의 이혼가정 자녀에 관한 국내의 동향 연구를 살펴보면, 부모 이혼을 경험한 자녀의 학교적응 (Jo, 2021)이나, 심리치료 효과 (Kim & Jo, 2021), 이혼가정 아동 관련 연구의 역사적 고 찰 (Kim & Yim, 2020), 미술치료연구 동향 분석 (Kim, 2018) (Chai & Lee, 2011;Choi, 2013;Kim, 2009;Lee, 2018;Oh, 2001), 부모가 이혼했 더라도 가족의 지원이나 지지, 협력, 그리고 이혼가정 자녀를 둘 러싼 다양한 환경적 요인과 자녀의 개인적 특성 등이 자녀의 적 응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Jang & Jang, 2009;Kim, 2005;Park & Han, 2006). 이러한 연구들은 이혼가정 자녀의 사회적 적응, 심리적 적응 등 성공적인 적응을 위해서는 정서적 안전지대가 확보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 (Huh, 2004) (Hong & Kim, 2005;Jang & Jang, 2009;Joo & Cho, 2004;Kim & Yang, 2016;Yoo, 2001) (Ju, 2015;Kim & Baek, 2007;Kim et al, 2005). 이혼가정 자녀들은 양친가정 자녀에 비해 스트레스 수준이 높고 (Chung et al, 2007), 공격적이며 (Yi et al, 2005), 우울과 불안을 비롯한 정신적 어려움을 경험하고 (Cho & Joo, 2003;Kim, 2011) 학업적응 문제(M. K. , 대 인관계 문제 (Lee, 2022;Song et al, 2008;Yoon et al, 2012) 등 다양한 문제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unclassified
“…기존의 이혼가정 자녀에 관한 국내의 동향 연구를 살펴보면, 부모 이혼을 경험한 자녀의 학교적응 (Jo, 2021)이나, 심리치료 효과 (Kim & Jo, 2021), 이혼가정 아동 관련 연구의 역사적 고 찰 (Kim & Yim, 2020), 미술치료연구 동향 분석 (Kim, 2018) (Chai & Lee, 2011;Choi, 2013;Kim, 2009;Lee, 2018;Oh, 2001), 부모가 이혼했 더라도 가족의 지원이나 지지, 협력, 그리고 이혼가정 자녀를 둘 러싼 다양한 환경적 요인과 자녀의 개인적 특성 등이 자녀의 적 응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Jang & Jang, 2009;Kim, 2005;Park & Han, 2006). 이러한 연구들은 이혼가정 자녀의 사회적 적응, 심리적 적응 등 성공적인 적응을 위해서는 정서적 안전지대가 확보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 (Huh, 2004) (Hong & Kim, 2005;Jang & Jang, 2009;Joo & Cho, 2004;Kim & Yang, 2016;Yoo, 2001) (Ju, 2015;Kim & Baek, 2007;Kim et al, 2005). 이혼가정 자녀들은 양친가정 자녀에 비해 스트레스 수준이 높고 (Chung et al, 2007), 공격적이며 (Yi et al, 2005), 우울과 불안을 비롯한 정신적 어려움을 경험하고 (Cho & Joo, 2003;Kim, 2011) 학업적응 문제(M. K. , 대 인관계 문제 (Lee, 2022;Song et al, 2008;Yoon et al, 2012) 등 다양한 문제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unclassifi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