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DOI: 10.22246/jikm.2022.43.2.191
|View full text |Cite
|
Sign up to set email alerts
|

A Case Report of Central Nervous System Disorder Induced Intractable Hiccups Treated with Korean Medicine

Abstract: Intractable hiccups are those which persist for more than one month and can often occur in patients with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such as stroke, epilepsy, or brain tumor. An 80-year-old male patient undergoing conservative hemodialysis for diabetic nephropathy, recently developed paralysis and dysphagia due to central nervous system complications including stroke and epilepsy. He was admitted to the ⃝⃝ Oriental Medicine Hospital, and treated with herbal medicine (<i>Gyulpijugyeo-tang<… Show more

Help me understand this report

Search citation statements

Order By: Relevance

Paper Sections

Select...

Citation Types

0
0
0
1

Year Published

2022
2022
2023
2023

Publication Types

Select...
2

Relationship

0
2

Authors

Journals

citations
Cited by 2 publications
(2 citation statements)
references
References 5 publications
0
0
0
1
Order By: Relevance
“…약물치료는 크게는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에 작 용하는 약으로 나뉘며 14 근이완제(baclofen), 항경련제 (diphenylhydantoin, valproic acid, carbamazepine, gabapentin), 항정신약물(chlopromazine, haloperidol, amitriptyline, midazolam, benzodiazepine), 위장운 동촉진제(cisapride, metoclopramide), 칼슘통로차단 제(omeprazole), 비마약성 진통제 등이 있다 13 . 이중 baclofen와 metoclopramide는 무작위배정 임상시험 (RCT)으로 효능이 입증되어 있으나 이외에 특정 한 권고사항은 없다 15 . 신경차단의 경우 설인신경 차단과 경부 경막 외 신경차단, 흉부 경막 외 신경 차단 및 횡격막 신경차단으로 분류된다.…”
unclassified
“…약물치료는 크게는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에 작 용하는 약으로 나뉘며 14 근이완제(baclofen), 항경련제 (diphenylhydantoin, valproic acid, carbamazepine, gabapentin), 항정신약물(chlopromazine, haloperidol, amitriptyline, midazolam, benzodiazepine), 위장운 동촉진제(cisapride, metoclopramide), 칼슘통로차단 제(omeprazole), 비마약성 진통제 등이 있다 13 . 이중 baclofen와 metoclopramide는 무작위배정 임상시험 (RCT)으로 효능이 입증되어 있으나 이외에 특정 한 권고사항은 없다 15 . 신경차단의 경우 설인신경 차단과 경부 경막 외 신경차단, 흉부 경막 외 신경 차단 및 횡격막 신경차단으로 분류된다.…”
unclassified
“…3 침 치료 이외의 중재를 병행한 연구 6편 중 침 치 료를 단독으로 시행한 연구와 마찬가지로 ' Diagnostic basis for clinical disease and standard for cure and improvement'를 근거로 치료 결과를 '완치', '유효', '무효'로 나눈 연구가 1편 17 있었으며, 임상 증상의 변화를 근거로 대상자를 '완치' '유효' '무효'로 나누 어 설명한 연구가 3편 13,14,16 , 총 유효율을 산출한 연 구가 4편 13,14,16,17 , 딸꾹질의 빈도 변화와 수치평가척 도(Numeral Rating Scale, 이하 NRS)를 이용한 연 구가 1편 15 , 연구자가 임의로 설정한 점수 체계로 치료 효과를 기술한 연구가 1편 18…”
unclassified